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는 5월 1일부터 6월 2일까지입니다. 성실신고확인 대상자는 7월 1일까지 연장 신고할 수 있어요.
자영업자, 프리랜서, 플랫폼 노동자, 직장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핵심 꿀팁과 주의사항을 지금부터 정리해드릴게요.
종합소득세란?
한 해 동안 발생한 모든 소득을 합산해 세금을 납부하는 제도입니다.
근로소득, 사업소득, 연금, 배당, 주택임대소득, 기타소득 등이 모두 해당돼요.
연말정산을 한 직장인은 별도 신고 필요 없지만, 다른 소득이 있다면 꼭 신고해야 합니다.
2025년 주요 변경사항 & 꿀팁
① 신고·납부 기한은?
- 기본 신고: 2025년 5월 1일 ~ 6월 2일
- 성실신고확인 대상자: ~ 7월 1일까지
- 경제적 피해자: 국세청 직권으로 납부 기한만 9월 2일까지 연장 가능 (신고는 6월 2일까지 필수)
※ 참고: 5월 31일이 토요일이기 때문에, 다음 평일인 6월 2일까지 자동 연장된 거예요.
→ 홈택스 > 납세지원정보에서 대상 확인 가능!
② ‘모두채움 서비스’란?
국세청이 미리 작성한 자동 신고서로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 소규모 자영업자
- 근로+기타 소득 있는 직장인
- 주택임대소득자
- 플랫폼 노동자 (배달라이더, 대리기사 등)
홈택스·손택스 또는 문자·카카오톡으로 안내받을 수 있어요.
내용만 확인하고 제출하면 끝!
③ 환급받을 수 있다면?
3.3% 원천징수를 당한 플랫폼 노동자, 프리랜서 등은 세금 환급을 받을 수 있어요!
- 대상자: 약 227만 명
- 환급 규모: 약 5,500억 원
- 방법: 홈택스 접속 → 환급 여부 확인 → 원클릭 신고
- 기한: 6월 말까지 신청
④ 전자신고, 더 쉬워졌어요!
- 홈택스·손택스 운영 시간 연장: 5월 한 달간 밤 1시까지
- 모바일 UI 개선: 탭 형식으로 더 간단
- 문자·카카오톡 안내: 65세 미만 1,000만 명 대상
- 지방소득세도 함께 신고 가능: 위택스 연동으로 클릭 한 번에 처리
⑤ 신혼·자녀 공제 혜택 확대
- 혼인세액공제: 2024년 혼인 신고 시, 1인당 50만 원 공제 (2024~2026년 한시적)
- 자녀·손자녀 공제: 8세 이상 세액공제 금액 상향
- 인적공제 누락 방지 시스템 도입
혼인세액공제는 자동 적용이 아닙니다. 본인이 직접 체크해야 공제가 반영돼요.
⑥ 가산세 조심하세요!
- 무신고 가산세: 일반 20%, 부정 40%
- 납부 지연 가산세: 매일 0.022% 추가
- 복식부기의무자가 추계 신고 시: 무기장 가산세 부과
⑦ 지방소득세도 같이 신고해야 하나요?
네, 종합소득세 신고 시 지방소득세도 함께 신고·납부해야 합니다.
- 홈택스 신고 완료 후 → ‘지방소득세 신고이동’ 클릭 → 위택스 자동 연결
- 납부세액 100만 원 초과 시 → 2개월 내 분할 납부 가능
자주 묻는 질문 (FAQ)
Q. 직장인인데 종합소득세 신고해야 하나요?
연말정산만 했다면 추가 신고는 필요 없어요. 다만 부업 수익, 주택임대소득, 블로그·유튜브 수익이 있다면 신고 대상입니다.
Q. 알바 소득도 신고 대상인가요?
네. 3.3% 원천징수된 아르바이트 소득은 합산 소득이 일정 수준을 넘으면 신고 대상이며, 환급도 받을 수 있어요.
Q. 환급은 자동으로 되나요?
아니요. 홈택스에서 직접 환급 신청해야 합니다. 자동 입금되지 않아요!
💬 종합소득세 어렵지 않습니다.
- 홈택스 ‘모두채움’ 대상자라면 즉시 확인!
- 환급 대상자는 6월 말 전까지 꼭 신청!
- 혼인세액공제·자녀공제도 체크 필수!
- 전자신고는 5월 초가 여유롭습니다. 말일엔 접속 폭주!
지금 빨리 준비하면 늦지 않습니다. 바로 준비해서 신청하세요. 아래는 종합소득세와 관련한 내용을 연계하여 작성 중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편은 모두채움 서비스가 무엇인지 설명하는 내용이니 꼭 읽어봐 주세요.
[2025 종합소득세 완전정복 시리즈]
자영업자부터 직장인, 프리랜서, 플랫폼 노동자까지 —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환급, 공제까지 완벽하게 마스터하는 시리즈! 세금이 어려운 당신을 위해, 신고 실전 가이드부터 환급 꿀팁, 세액공제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시리즈 바로가기